한번쯤은 국민연금에 대해 정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,
저도 공부를하고, 여러분들에게도 도움이 되게끔 정리를 해볼게요
1. 국민연금의 종류
- 노령연금 :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되면 60세 도달하는 때부터 평생지급하는 연금
- 장애연금 : 가입기간 중 질병과 부상으로 장애가 남은 경우 장애가 존속하는 동안 지급하는 연금
- 유족연금 - 연금수급자가 사망하는 경우 유족에게 지급
- 반환일시금/사망일시금 - 연금수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납부한 보험료에 이자를 가산하여 일시불로 지급
2. 국민연금 예상수령액??
https://www.nps.or.kr/jsppage/main.jsp
국민연금공단
www.nps.or.kr
- 국민연금 공단 - 전자민원 - 개인 - 예상연금조회를 클릭
- 다음은 2021년을 기준으로 한 예상 소득별, 가입기간별 예상 수령 금액입니다.
- 참고로 2021년 기준으로, 10년이상 가입시 평균 54만원, 20년 이상 가입시 93만원, 30년이상 가입시 136만원입니다.
3. 국민연금 수령나이
- 1969년 이후 출생 : 65세부터 연금 개시
- 1965년 ~ 68년 출생 : 64세부터 연금 개시
- 1961년 ~ 64년 출생 : 64세부터 연금 개시
- 1957년 ~ 60년 출생 : 62세부터 연금 개시
- 1953년 ~ 56년 출생 : 61세부터 연금 개시
- 1952년 이전 출생 : 60세부터 연금 개시
하지만 지금 새로운 정부에서 도입하고 있는 연금 개혁에 따라, 연금 개시연령이 또 바뀔 수 있습니다.
4. 국민연금 조기수령
- 최대 5년간 앞당겨서 수령할 수 있는 제도 입니다.
- 1년다 6%씩 수급액이 감면됩니다.
- 만약 제가 수령가능한 금액이 100만원, 65세부터 개시가능한 연령이라면, 60세부터 수령가능하고, 이때 수령가능 금액은 70만원 입니다.
- 주의사항: 만약 조기수령을 선택하게 된다면 개시일로부터 해당사항을 번복할 수 없습니다.
5. 국민연금 연기연금
- 국민연금을 연기하여 수령하게 된다면, 연장 개월수마다 0.6%씩 연금액이 증가됩니다.
- 최대 5년간 연장할 수 있으며,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최대 36% 늘어나게 됩니다.
- 만약 제가 수령가능한 금액이 100만원, 65세부터 개시가능한 연금이라면, 70세까지 미룰경우, 136만원 수령가능합니다.
6. 국민연금 수령방법
- 전화로 신청, 국민연금공단 방문, 인터넷 신청이 가능합니다.
- https://www.nps.or.kr/jsppage/service/personal/request/payReq_form02.jsp
개인서비스 > 신고/신청 > 연금급여 청구 -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
국민연금급여 안내 신고/신청 서비스의 신청 완료 전에 반드시 이용약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작성완료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용약관에 동의하신 것으로 간주합니다. 이용약관 국외이주/ 사
www.nps.or.kr
- 주의해야 할점은, 연금 권리가 시작되는 해부터 5년이내에 수령을 신청하거나 혹은 연기를 신청하지 않으면, 수급권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.
7. 국민연금 추가납입제도
- 소득이 완전하지 않아, 101년간 국민연금을 납입하지 못한경우 추가납입제도를 통해 최소 10년 요건을 채울 수 있습니다.
- 방법은: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- 전자민원서비스 - 개인 - 신고/신청
노후대비에서 가장중요한 것은 일정한 현금흐름입니다. 제가 생각하기에는 국민연금 만큼 좋은 연금제도는 없습니다. 만약 최소 요건을 못맞춰서 수급받지 못한다면 정말 큰 손해입니다!
위에 표에서 볼 수 있듯이, 국민연금은 소득이 적은사람에게 상대적으로 많은 연금을 지급하고, 소득이 많은 사람들에게 상대적으로 적은 연금을 지급합니다.
여유가 되신다면 반드시 최소금액이더라도 10년간 납입을 꼭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.
'재테크관련정보 > 정부복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부모급여 영아수당(2022년 영아도 소급 적용 가능) (1) | 2022.10.03 |
---|---|
이시각 정부 주요 속보(2023년 공무원 보수, 추석연휴 고속도로, 입국전 PCR 검사, 건강보험요율 인상) (16) | 2022.09.05 |
상생소비복권(영수증으로 100만원 벌기) (8) | 2022.08.31 |
근로소득자 과세표준 조정 (19) | 2022.07.27 |
해수욕장 갈때 꿀팁~![생활해양예보지수] (4) | 2022.07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