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 이웃여러분. 요즘 경기가 많이 힘들죠?
최근에 주변을 보면 아파트 영끌 매수에 물가까지 상승하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사람을 많이 봅니다.
부동산 대출이야, 최근에 안심전환대출로 대부분이 갈아타셨을꺼니, 연 4.0%로 막아놓으셨겠지만,
무주택자들이 받는 보금자리 대출의 경우 연 4.55%로 여전히 높습니다.
또한 적격대출은 최고 금리 연 6.91%이죠.
어떻게 보면 무주택자와 1주택 사이의 금리 역차별 현상이 발생하고, 이자의 부담이 가중되자
정부에서는 안심전환대출, 보금자리론, 적격대출을 묶어 특례보금자리론을 만들었습니다.
안심전환대출+보금자리론+적격대출 = 특례보금자리론
1. 특례보금자리론 : 상품의 설명
상품 | 안심전환대출 | 보금자리론 | 적격대출 | 특례보금자리론 |
주택가격 | 6억원 | 6억원 | 9억원 | 9억원 |
대출한도 | 3.6억원 | 3.6억원 | 5억원 | 5억원 |
소득한도 | 1억원 | 7천만원 | 없음 | 없음 |
금리 | 3.8~4.0% | 4.25~6.91% | 4.55~6.91% | 단일금리신청체계 |
1월 부터 시행예정이고, 아직 금리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4%를 유지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.
하지만, 금리가 점차 오르는 분위기이니 상품을 가입하고 싶으신 분들은 서둘러 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.

2. 특례보금자리론 왜 시행할까?
-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건수 및 전국 아파트 매매건수의 급격한 하락 = 세수(세금)의 감소
- 1주택자와 무주택자 사이의 금리 역전현상 발생
- 미국 발 금리 인상에 따른 서민의 이자부담 증가
3. 특례보금자리론 도움이 될까?
- 이 정책이 시행된다고 해도, 예비 매수자들을 시장의 참여자로 끌어들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.
- 다만, 높은 시중금리로 이용하셨던 분들은 갈아타면 좋을 것 같아요
이상 오늘은 정부의 대출정책에 대해 알아봤어요.
너무 비이성적으로 아파트 가격이 오른 것이니만큼, 적절한 조정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.
이웃여러분들도 주택대출 관련 이자에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라면 한번쯤 둘러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.
다음에 다시만나요~
'재테크관련정보 > 정부복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실업급여 수령조건 (3) | 2022.11.30 |
---|---|
10월부터 바뀌는 정책 3가지!(가스요금, 전기요금, 임업 직불제) (9) | 2022.10.03 |
2023년 부모급여 영아수당(2022년 영아도 소급 적용 가능) (1) | 2022.10.03 |
이시각 정부 주요 속보(2023년 공무원 보수, 추석연휴 고속도로, 입국전 PCR 검사, 건강보험요율 인상) (16) | 2022.09.05 |
국민연금에 대해 알아보아요(수령시기, 예상수령액, 조기수령, 추가납입, 임의가입, 노령연금) (23) | 2022.09.01 |